https://prod-files-secure.s3.us-west-2.amazonaws.com/2b3f4591-f925-4ece-bc73-89c7f27ce4ed/9b70d776-bcbb-4ddd-8220-b77cfdbf24e8/Advisor_Insight__2020_10_.png

인모스트투자자문 장재창대표

지난 한달 글로벌 증시는 2021년 3월 이후 가장 좋은 실적시즌을 맞이하며 향후 추가적인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점진적으로 둔화하는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및 조기 인하 의견 강화에 11월의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과도한 기대라는 우려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2024년 전망이 등장하는 가운데 과연 어떻게 투자에 임하는 것이 좋은지 금번 월간레터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파월은 다른사람이다

1) 지금 시장을 움직이는 가장 큰 에너지

지금의 시장

“’인슈런스 컷(insurance cut)은 대표적으로 2019년에 사용되었다 … 침체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자 실시한 선제적 금리 인하 전략이었다 … 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한 내러티브는 현재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2024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Untitled

Untitled

2023년은 강한 시장의 모습이 보여지며 수익을 내기 좋은 한 해였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연초 잠깐의 조정 기간을 거치긴 하였으나, 7월까지 주식과 금리가 모두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후 9월부터 금리 상승은 지속되었으나 시장은 하락하였고, 금리가 내려가면서 다시 주식 시장이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금리는 2023년을 움직이는 강력한 에너지였다. 금리 동결에 대한 기대가 상반기의 에너지였다면, 하반기는 내년도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에너지로 작용했다.

최근 시장은 낙관이 주요 전망으로 자리잡고 있다. 1분기, 2분기 계속해서 실적이 나빠질 것이라 보았던 마이클 월슨 등 약세론자의 전망과 달리, 이후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지며 미래 증시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불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도 낙관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심 요인이다. 투표권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자 대표적인 매파 인사였던 크리스토퍼 월러가 금리 인하에 대해 긍정적 의견을 밝혔기 때문이다. 크리스토퍼 월러는 ‘현재 정책, 경제 둔화시키고 인플레 연준 목표치인 2%로 되돌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점점 더 확신’며 ‘디스인플레 지속된다면 금리를 낮출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경기 쇠퇴 전에 경제 회복시키기 위해 연준의 금리 인하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이다. 여기서 ‘인슈런스 컷(Insurance cut, 보험성 금리인하)’이라는 용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인슈런스 컷'은 대표적으로 2019년에 사용되었다. 침체를 벗어나기 위한 금리 인하가 아닌 침체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고자 실시한 선제적 금리 인하 전략이었다. 최근 채권 투자로 주목을 받았던 펀드매니저 빌 애크먼도 인슈런스 컷의 필요에 동의했다. 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한 내러티브는 현재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2024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p6ESq248x4U

미국과 중립금리

“24년에는 ‘중립 금리’가 가장 많이 언급될 가능성이 높다. 연준이 결정하는 정책 금리가 어디까지 내려갈 지에 대해 예측할 때 사용되기 때문이다.”

Untitled

중립 금리는 경기를 압박하지도 부양하지도 않는 적당한 수준의 금리를 말한다. 중립 금리 중 ‘실질 중립 금리’는 실물 경기에 적용되는 기준점이다. ‘명목 중립 금리’는 정책 금리의 기준점으로 사용되며 실질 중립 금리에서 목표 인플레이션을 더한 값으로 산출된다.

실질 중립 금리는 인구 증가율 및 노동 생산성 증가율 등 여러 요인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인구 구성 변화 인해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 수가 감소하면 실질 중립 금리도 함께 하락하게 된다. 다만, 생산성의 증가가 감소한 경제 활동 참여 인구 이상의 결과를 낸다면 다시 실질 중립 금리는 상승하게 된다. 명목 중립 금리는 그것 외에도 한 가지 더 영향을 받는 요인이 있는데 인플레이션이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명목 중립 금리의 기준점도 높아지며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면 그만큼 다시 명목 중립 금리의 기준점이 낮아지게 된다. 미국의 실질 중립 금리의 추이를 살펴보면 꾸준히 하락해왔다. 극심한 고령화가 진행됐고, 기술의 발전은 고령화를 방어할 만큼의 정도이지 금리를 올려줄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24년에는 ‘중립 금리’가 가장 많이 언급될 가능성이 높다. 연준이 결정하는 정책 금리가 어디까지 내려갈 지에 대해 예측할 때 사용되기 때문이다. 명목 중립 금리는 연준이 경계선으로 살피게 될 중요한 경계선이다. 실물 경기(실질 중립 금리)와 인플레이션을 모두 살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둔화하는 인플레이션의 추세가 확인되며 연준이 낮출 수 있는 정책 금리 수준도 낮아지고 있다는 전망이 등장하고 있다. 다만, 만약 인플레이션의 하락 추세가 그치며 계속 3%대 머물게 된다면 중립 금리가 높아지고 연준의 금리 인하도 멈추게 될 가능성이 있다.

https://youtu.be/E3S7BSVsjeA